TOP
KIADA2022 국제포럼

2022년 10월 31일 (월)
오후 1시 ~ 오후 3시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207호

About

장애인 무용 예술 생태계 회복과
향유를 위한 담론의 장

국내외 장애무용의 표준화와
다양성 증진을 위한 기반 마련

장애무용예술의 가치 전환과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비전 제시

Agenda

장애무용의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시각

  • ·국내외 장애인·비장애인 무용 예술가, 비평가, 안무가 등 초청
  • ·장애무용의 사회, 문화, 정책 등 현안 탐색
  • ·장애무용의 다양한 현장 활동 스토리와 무용을 매개로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 공유
  • ·장애무용의 개방적 접근을 위한 쟁점 및 예술적 가치 확산을 위한 토론
  • ·장애무용 예술에 대한 다각적 관점과 시각을 통해 실천적 과제 탐색
  • 발행 도서 및 저자

    무용계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장애 무용가들의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 무용 저널리스트 에밀리 위더홀트(Emmaly Wiederholt)는
    무용 감독인 실바 라우카넨(Silva Laukkanen)과 함께 2022년
    『Breadth of Bodies - Discussing Disability in Dance』집필

  • · 지구상의 최소 25%가 장애인 무용수, 무용계 활동 현장 속
       리얼 스토리
  • · 다양한 장애유형과 다양한 댄스장르,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세계 15개국 35명 전문 무용수들의 생생 인터뷰 기록
  • · 장애인 무용수들의 교육과 활동, 예술에 대한 영역과 범위,
      비평을 위한 시각 등 1인칭 시점
  • · 무엇이 예술의 영감이 되고 무엇이 기교를 만드는지
       장애 무용에 대한 편견과 오해의 폭을 좁힐 수 있는 기회
  •     [2022년 12월 한글 번역본 발간 예정]

    #장애무용 #장애무용수 #장애무용예술 #장애무용비평 #장애무용인식 #시사점 #장애무용교육 #장애무용공연

    『Breadth of Bodies - Discussing Disability in Dance』 본문 내용 중에서...

    “ 장애는 정체성, 문화, 정치, 그리고 미적 요소처럼 장애 예술계 밖 사람들에게 친숙하지 않으며, 비평가들은 종종 안무 뒤에 있는 훈련에 대해서 인지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 ”

    “ 10년간 수많은 투자자들, 비평가들, 기자들에게 우리가 치료를 하는 게 아니라 무용을 하고 있다는 걸 납득시키고자 노력했다. ”

    “ 왜 30년이 지난 지금에서도 이 분야의 예술성이 존재하지 않는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짚어보고 싶었다. ”

    “ 우리는 신체적으로 통합되었다는 걸 인식해야 한다. 무용은 그 자체로 예술의 한 형태이며 예술의 형태는 그 분야에서 그만의 자리를 차지할 가치가 있다. ”

    “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처음 봤을 때 일어난 일은 장애에 집중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나는 장애가 무용과 따로 분리된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그렇게 되기도 원치 않는다. ”

    에밀리 위더홀트 Emmaly Wiederholt

    미국 뉴멕시코에 기반을 둔 댄스 아티스트, 예술 저널리스트

    발레와 정치학, 예술언론학을 전공 다수의 장애 무용수업과 공연

    -

    • 미국 무용저널리즘단체 ‘Stance on Dance’ 대표

    • 2017년 Dancing 50 and Beyond 출간

    • 2022년 Discussing Disability in Dance 출간

    실바 라우카넨 Silva Laukkanen

    장애예술무용단체 'Art Spark Texas' 통합무용 감독 겸 안무가

    핀란드와 미국 텍사스 중부지역 중심으로 장애-비장애 무용수업 및 워크샵 진행

    -

    • 우토쿰푸 노스카리알라 칼리지의 무용학 학사

    • 영국 런던 트리니티 라반 음악원 커뮤니티 댄스 대학원 졸업

    Timetable
    진행  김미영
    탄츠위드 편집장
    13:00 ~ 13:20 개회사 최영묵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장 한국
    환영사 김삼진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예술감독 한국
    13:20 ~ 13:40 발제1 에밀리 위더홀트 스탠스 온 댄스 대표, 예술저널리스트 미국
    실바 라우카넨 아트 스파크 텍사스 통합무용 감독 겸 안무가 "장애와 주류 무용; 접근의 폭" 미국
    13:40 ~ 14:00 발제2 심정민 무용평론가, 비평사학자 "장애무용의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한 담론 - 장애예술 정책의 진화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14:00 ~ 14:20 발제3 김원영 작가, 무용수 "고유성을 찾고, 보편성으로 나아가기" 한국
    14:20 ~ 15:10 자유토론 하이 코헨 버티고 파워 오브 밸런스 대표, 안무가
    이스라엘
    수잔 코완 터치 컴퍼스 무용단 안무가, 예술 감독 뉴질랜드
    김형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사장 한국
    노정식 용인대학교 무용과 교수 한국
    오선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극장운영부 차장 한국
    15:10 ~ 15:15 폐회사 최영묵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장 한국
    진행 김미영 탄츠위드 대표
    13:00 ~ 13:20
    개회사
    최영묵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장
    한국
    환영사
    김삼진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예술감독
    한국
    13:20 ~ 13:40
    발제1
    에밀리 위더홀트 스탠스 온 댄스 대표, 예술저널리스트
    미국
    실바 라우카넨 아트 스파크 텍사스 통합무용 감독 겸 안무가 "장애와 주류 무용; 접근의 폭"
    미국
    13:40 ~ 14:00
    발제2
    심정민 무용평론가, 비평사학자 "장애무용의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한 담론 - 장애예술 정책의 진화과정을 바탕으로"
    한국
    14:00 ~ 14:20
    발제3
    김원영 작가, 무용수 "고유성을 찾고, 보편성으로 나아가기"
    한국
    14:20 ~ 15:10
    자유토론
    하이 코헨 버티고 파워 오브 밸런스 대표, 안무가
    이스라엘
    수잔 코완 터치 컴퍼스 무용단 안무가, 예술 감독
    뉴질랜드
    김형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사장
    한국
    노정식 용인대학교 무용과 교수
    한국
    오선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극장운영부 차장
    한국
    15:10 ~ 15:15
    폐회사
    최영묵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장
    한국
    주제
    장애무용의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시각
    참여자

    발제자

    · 에밀리 위더홀트 Emmaly Wiederholt

    · 실바 라우카넨 Silva Laukkanen

    · 심정민 Jungmin Shim

    · 김원영 Wonyoung Kim

    토론자

    · 하이코헨 Hai Cohen

    · 수잔 코완 Suzanne Cowan

    · 김형희 Hyunghee Kim

    · 노정식 Jungsik Roh

    · 오선명 Sunmyeong Oh

    참석신청기간
    2022년 09월 23일(금) ~ 10월 24일(월)까지 *선착순 마감
    참석자 발표
    2022년 10월 26일(수) *참가 확정 개별 연락
    일시
    2022년 10월 31일(월) 오후 1시 ~ 오후 3시
    장소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207호
    신청서 작성
    • 주최 SUPERVISION
      빛소리 친구들
    • 주관 SPONSORSHIP
      KI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