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프리즘
Metaprism
시놉시스 Synopsis
확장성, 공간의 초월을 뜻하는 메타(meta)와 관점을 지닌 신조어 프리즘(prism)을 합성한 <메타프리즘>은 나의 관점, 한계 그 너머의 이야기이다. 작품은 내면의 경계를 뚫고 나아가 끝내 성장하는 우리의 모습을 담아낸다. 마치 평범해 보이며 아무 일 없는 듯 살아가고 있지만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매일 새로운 상황을 직면하고 고군분투하며 하루하루 치열하게 살아내고 있다. 매일이 새로운 도전인 삶을 살고 있는 모두에게 전하는 공감과 응원의 메시지이다.
단체소개 Team Info
경기도무용단 X 장애무용수
GYEONGGIDO DANCE COMPANY X DISABLED DANCERS
「경기도무용단」은 우리 춤의 발전을 도모하고 경기도민의 더욱 풍요로운 문화생활 향유를 위해 1993년 창단되었다. 현재 김상덕 예술감독과 60명의 단원이 함께하며 경기도를 대표하는 예술 단체로서 수준 높은 창작 무대를 끊임없이 선보임으로써 국내는 물론 세계인들과도 만나고 있다. 그동안 중동, 중국, 일본 등 아시아와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 북미, 남미 그리고 영국,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지역에 해외 공연을 통하여 한국 문화와 우리 전통춤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우리 춤은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 민족의 깊은 정서와 문화를 대변함은 물론 경쾌하면서도 때로 장중하며 우아하면서도 변화무쌍한 한국적 미(美)를 가장 잘 표현하는 대표적인 한국 문화예술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경기도무용단」은 이러한 우리 춤의 멋과 아름다움을 국내외 더 많은 이들이 느끼고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해 갈 것이다.
숨쉬는 껍데기 3(마음)
The Breathing Shell 3(Heart)
시놉시스 Synopsis
인간의 마음은 스스로가 충동적이고 제어하기 어려워
어진 사람이 되었다가 악한 사람으로 변하기도 한다.
시시각각 변하는 인간의 마음은 스스로가 천국으로 또는 지옥으로 향하기도 한다.
지금 나의 모습은 누가 만든 것인가?
지금 나의 환경은 누가 만든 것인가?
세상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은 외부보다 자신 속에 더 많이 존재하지 않을까?
마음은....
세상 만물을 만드는 껍데기가 분명하다.
단체소개 Team Info
댄스컴퍼니 미디우스 DANCE COMPANY MIDIUS
「댄스컴퍼니 미디우스」는 “삶의 참된 가치와 행복을 제시하고, 그에 수반한 문제의 해결안을 제시하자”라는 슬로건이 있다. 장르를 초월한 몸짓으로 소통을 통해 대중의 삶과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2005년 설립되었다.
우리의 기원
Our Origin
시놉시스 Synopsis
두 생명의 신체가 자연의 결정체가 되어 우리의 기원을 표상화 한다.
두 유기체의 미세한 움직임이 떨림으로 시작한다. 이 떨림은 파장으로 연결되고 공간을 끊임없이 채워 나간다. 그 둘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고유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그들이 생성한 에너지의 파장은 서로를 끌어당기게 하고 결국 서로의 존재를 의식하게 된다.
생명체는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우주의 순환과 함께 움직인다.
이 작품은 인간도 하나의 생태계로 융합되는 것을 상징하며 인간의 연결성과 다양성을 나타낸다.
단체소개 Team Info
온앤오프무용단 ON&OFF DANCE COMPANY
「온앤오프 무용단」은 인간, 생명, 자연, 시공간, 미래 사회, 역사를 탐험하고 상상하며 진실을 찾아 여행하며 새로운 길을 만드는 무용단이다.
보이지 않는 끈
The Invisible String
시놉시스 Synopsis
사람과 사람의 연(緣)은 이 세상에 나오면서 이어지는 것일까?
사회집단 생활 속에서 이어지는 것일까?
나는 이 둘 상황에서 연이 이어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와 타인들과의 연은 길이가 모두 같을 수 없다.
또한 연은 일방적으로 잡아당기면 끊어지는 끈처럼 사람 관계에서도 완급 조절이 필요하다.
보일 것 같지만 보이지 않는 끈!
나 자신도 모르는 여러 끈의 길이는 얼마나 될까?
단체소개 Team Info
온몸컴퍼니 ONMOM COMPANY
「온몸컴퍼니」는 2006년에 탄생한 전문 예술단체로서 퍼포먼스, 무용, 영화 등 어느 장르를 가리지 않고 몸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목표점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국내의 여러 페스티벌에서의 공연은 물론 국제교류를 통해 워크숍 및 공연을 하고 있다. 「온몸컴퍼니」의 작품은 난해한 것보다는 관객과 호흡하고 공감이 가는 작품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현실원칙
The Principle of Reality
시놉시스 Synopsis
소위 ‘손상되었다’고 여겨지는 무용수의 ‘발’을 안무의 중심으로 가져온다. 발은 바닥을 딛고, 끌고, 공중에서 줄을 타고, 줄을 휘감고 미끄러진다. 어떤 순간에는 완전히 은폐된다. 무용수의 몸 가운데 ‘손상된’ 일부(이 작업에서라면 ‘발’)는 무용수로서의 실격사유가 되거나 관객에게 특수한 가상(낭만적인 스토리, 환상, 기이함)을 창출하며 특별한 자격을 호소하는데 동원된다. 그러나 자격을 상실하는 원인으로서의 발이 아닌 환상과 낭만의 근원지로서의 발도 아닌 오히려 몸 전체의 실재를 생생하게 농축한 것으로서 ‘손상된 신체의 일부’가 존재할 길도 있지 않을까?
단체소개 Team Info
김원영 WON YOUNG KIM
김원영은 작가이자 변호사로서 장애인의 삶과 법적 권리,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했으며 2013년 연극공연을 제작하고 배우로서 출연하며 본격적으로 공연자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2019년 직접 극을 쓰고 출연한 1인극 <사랑 및 우정에서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2019. 7. 서울변방연극제)에서 권리(법률)나 도덕에 기대지 않고 추상적인 법적 주체가 아닌 불완전하고 유한한 몸을 가진 존재로서 우리가 어떻게 서로를 환대하고 우정을 맺고 사랑을 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탐구했다.
2020년에는 안무와 춤추는 몸의 관계를 탐색하는 창작자 그룹 프로젝트 이인과 협업하여 무용공연 <무용수-되기>를 창작했다. <무용수-되기>는 2021년 장애인국제무용제(KIADA) 초청작으로 선정되었고 2022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 국제무용마켓 탄츠메세(Tanzmesse), 서울아트마켓 팸스초이스에도 공식 초청작으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등에서 해외 공연을 예정하고 있다. 그 밖에 2019년 이연주 연출의 연극 <인정투쟁; 예술가편>, 2021년 이윤정 안무의 <사랑체조>, 2022년 남화연 작가의